심장전도시스템 (cardiac conduction system) ②

start

BioinformaticsAndMe

 

 

 

 

 

Atrioventricular (AV) node 


: 방실결절(AV node)은 내측 우심방에 위치하며, 심방과 심실 사이에서 전기적인 연결을 형성함

: 방실결절의 세포는 충격을 매우 느리게 전달하므로, 약 1cm 길이의 노드를 횡단에 필요한 시간은 60-125ms

: 이와 같은 전도 둔화는 급속한 심방 부정맥(심방세동, 심방조동)에 대한 반응으로 심실의 장애를 방지함

: 또한, 전도의 통과를 막을 수 있으며, 심장 전도 차단의 가장 일반적인 위치

: 방실결절은 자율신경계에 의해 조절됨

 

 

 

 

 

His-Purkinje System and Ventricles


: 심실에서 전도의 급속한 확산은 His-Purkinje system(HPS)의 세포에 의해 매개됨

: His bundle(히스속;히스다발)은 심실 중격의 꼭대기에 존재

: AV node는 His bundle의 상단에서 끝나고, His bundle은 왼쪽 및 오른쪽으로 분기됨

: AV node를 통과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일반적으로 60-125ms

: His bundle~Purkinje fiber에서 소요된 시간은 일반적으로 35-55ms

     *55ms가 넘어가면 HPS 전도 과정에 심각한 문제가 있음을 암시

 

 

 

 

 

동방결절 전도과정은 아래 링크 참조

심장전도시스템 (cardiac conduction system) 

 

 

 

 

#Reference

1) www.brown.edu/Courses/Bio_281-cardio/cardio/EKGhandout2.pdf

2) www.youtube.com/watch?v=buT0JSmVjxI&list=PUUmD__F0ZGrvbDa92dR76qQ&index=7

 

 

 

 

심장전도시스템 (cardiac conduction system) ②

end

BioinformaticsAndMe

 

 

 

흉부유도 (Precordial lead)

start

BioinformaticsAndMe

 

 

흉부유도 (Precordial lead; Chest lead)


: 앞면에 수직인 평면에서 전기적 활동을 기록하기 위해, 심장의 여러 영역에 걸쳐 가슴 표면에 6개의 (+)극을 배치

: 6개의 unipolar precordial lead (단극 흉부유도) 명칭은 V1-V6

  • V1: fourth intercostal space, to the right of sternum.
  • V2: fourth intercostal space, to the left of sternum.
  • V3: placed diagonally between V2 and V4.
  • V4: between rib 5 and 6 in the midclavicular line.
  • V5: placed on the same level as V4, but in the anterior axillary line.
  • V6: placed on the same level as V4 and V5, but in he midaxillary line.

: 해석 규칙은 사지 리드와 동일하며, 흉부 표면의 특정 전극을 향해 이동하는 탈분극 파동은 (+) deflection을 유발

: Standard Limb Leads(I, II, III) 및 Augmented Limb Leads(aVF, aVR, aVL)의 사지 리드는 탐색 전극과 기준점이 정면에 배치됨

     →따라서, 이러한 리드는 정면에서 이동하는 벡터를 감지하는데 탁월함

: Precordial Leads(V1, V2, V3, V4, V5, V6)에는 탐색 전극이 흉벽 앞쪽에 위치하고 기준점은 흉부 내부에 존재

     →따라서, 가슴 리드는 수평면으로 이동하는 벡터를 감지하는데 탁월함

 

 

 

 

 

#Reference

1) ecgwaves.com/topic/ekg-ecg-leads-electrodes-systems-limb-chest-precordial/

2) www.cvphysiology.com/Arrhythmias/A013c

 

 

 

흉부유도 (Precordial lead)

end

BioinformaticsAndMe

 

 

 

증폭사지유도 (Augmented limb lead)

start

BioinformaticsAndMe

 

 

 

 

증폭사지유도 (Augmented limb lead)


: Lead aVR, aVL, aVF는 증폭사지유도(Augmented limb lead)임

     Lead augmented vector right (aVR) → (+)극은 오른팔, (-)극은 왼팔 전극과 왼다리 전극의 조합

     Lead augmented vector left (aVL) (+)극은 왼, (-)극은 오른팔 전극과 왼다리 전극의 조합

     Lead augmented vector foot (aVF) (+)극은 왼다리, (-)극은 오른팔 전극과 왼팔 전극의 조합

: 상대적으로 전위가 0인 Null point를 사용하여 한 사지에서 기록된 전기력 그래프를 얻으므로, 단극(Unipolar)

: 표준 ECG를 구성하는 Lead 시스템은 아래와 같이 3가지가 존재함

  • Standard Limb Leads (Bipolar) - I, Il, III
  • Augmented Limb Leads (Unipolar) - aVR, aVL, aVF
  • Precordial Leads  (Unipolar) - V1, V2, V3, V4, V5, V6

 

 

 

 

#Reference

1) en.wikipedia.org/wiki/Electrocardiography

2) thephysiologist.org/study-materials/the-ecg-leads-polarity-and-einthovens-triangle/

 

 

 

증폭사지유도 (Augmented limb lead)

end

BioinformaticsAndMe

 

 

 

아인트호벤 삼각형 (Einthoven’s Triangle)

start

BioinformaticsAndMe

 

 

 

 

 

아인트호벤 삼각형 (Einthoven’s Triangle)


: Standard Limb Lead(표준사지전극)은 한 번에 두 사지(팔다리) 사이에 기록된 전위차 그래프를 표시하는데 사용

: Lead에서 한 사지에는 (+)극이 있고 다른 사지에는 (-)극이 위치함

: 세 개의 사지 전극 I, II, III은 오른팔(RA), 왼팔(LA), 왼다리(LL)에서 아인트호벤 삼각형 (Einthoven’s Triangle)을 형성

: Einthoven’s Law은 Lead II complex가 Leads I 및 III complex의 합과 같으며 II = I + III로 주어짐

: 예를 들면,

     Lead I complex에서 R파는 7mm이고 S파가 2mm인 ECG가있는 경우, R에서 S를 빼면 5mm

     Lead III complex에서 R파는 1mm이고 S파가 16mm인 ECG가있는 경우, S에서 R을 빼면 -15mm

          →Lead II complex에서 위 법칙으로 II = 5 + -15 = -10mm을 얻을 수 있음

 

 

 

 

 

#Reference

1) www.youtube.com/watch?v=tTwld2jNy28&list=PUUmD__F0ZGrvbDa92dR76qQ&index=2

2) thephysiologist.org/study-materials/the-ecg-leads-polarity-and-einthovens-triangle/

3) www.medicalopedia.org/2148/electrocardiography-ekg-an-introduction/einthoven-triangle-ecg/

 

 

 

아인트호벤 삼각형 (Einthoven’s Triangle)

end

BioinformaticsAndMe

 

 

 

심전도의 3가지 규칙

start

BioinformaticsAndMe

 

 

 

 

 

 

Three Basic “Laws” of Electrocardiography


1. 첫번째 규칙 (A 그림)

: 탈분극의 wave가 해당 Lead의 (+)극으로 확산되면, 모든 Lead에서 positive(upward) deflection이 나타남

: 심방 자극 경로가 환자의 왼쪽 아래로 향하면,  Lead II에서 positive P파가 보임

: 심실 자극 경로가 환자의 왼쪽 아래로 향하면, Lead I에서 positive R파가 보임

2. 두번째 규칙 (B 그림)
: 탈분극의 wave가 해당 Lead의 (-)극으로 확산되면(또는 (+)극에서 멀어짐), 모든 Lead에서 negative(downward) deflection이 나타남

: 심방 자극 경로가 환자의 왼쪽 아래로 향하면,  Lead aVR에서 negative P파가 보임

: 심실 자극 경로가 Lead의 (+)극에서 완전히 멀어지면, negative QRS complex가 보임

 3. 세번째 규칙 (C 그림)
: 탈분극 경로가 Lead에 대해 직각(수직)으로 향하는 경우, biphasic deflection이 나타남 (동일한 크기의 positive, negative delfection으로 구성)

: 심방 자극 경로가 모든 Lead에 직각으로 퍼지면, 해당 Lead에서 biphasic P 파가 보임

: 심실 자극 경로가 모든 Lead에 직각으로 퍼지면, QRS complex는 biphasic

: biphasic QRS complex는 RS 패턴 또는 QR 패턴으로 구성 될 수 있음

 

 

 

 

 

#Reference

1) doctorlib.info/cardiology/electrocardiography1/5.html

 

 

 

 

심전도의 3가지 규칙

end

BioinformaticsAndMe

 

 

 

심장전도시스템 (cardiac conduction system) ①

start

BioinformaticsAndMe

 

 

 

 

 

 

심박 조율기 세포 (동결절; 동방결절; 박동조율기 세포) 전도 과정


: 심장에는 활동 전위를 생성하는 심박 조율기 세포(Sino-Atrial[SA] node; Sinus node; Pacemaker cell)가 존재

    →자발적으로 리드미컬한 심박수를 설정

수축하는 심장 근세포(심장 근육 섬유; contractile cell; cardiac muscle cell)의 신호는 신경계에서 직접 오는 것이 아니라 SA node의 심박 조율기 세포에서 시작함

    →심장의 전기 공급원(Origin of Life)

: SA node의 세포는 심방 근세포를 탈분극시킴

: 힘을 발생시키는 심장 근세포는 간극연접(gap junction)에 의해 서로 연결

    한 세포의 탈분극이 인접한 세포로 빠르게 확산되고, 활동 전위는 심방 근세포의 막에 의해 생성됨

: 위 그림에서 심방 주위에 표시된 녹색 섬유는 활동 전위를 방실 결절(Atrioventricular[AV] node)로 전도

: 심박 조율기 세포(Sinus node)는 아래 Phase 4에서 slow spontaneous depolarization함으로써 자동능을 갖음

    →심박수(Heart rate) 조절

 

: 전체적인 심장 전기 흐름의 방향은 '우상  좌하'

 

 

 

방실결절, 히스다발 전도과정은 아래 참조

심장전도시스템 (cardiac conduction system) ②

 

 

 

#Reference

1) www.quora.com/Does-the-cardiac-conduction-system-work-more-like-nerves-or-more-like-wires

2) www.youtube.com/watch?v=7NRuLlgI1zM&list=PUUmD__F0ZGrvbDa92dR76qQ

3) www.slideserve.com/alaric/arrhythmias

 

 

 

 

심장전도시스템 (cardiac conduction system)

end

BioinformaticsAndMe

 

 

 

폐흡충 논문 리뷰

 Start

BioinformaticsAndMe

 

 

 

 

 

 

 

환자1 (아들)


■35세 남자 환자

-3주 정도 지속된 흉부 압박감과 마른 기침

-기침과 좌측 흉부에 심한 통증
-민물게장을 여러 번 먹음
-특이 과거력은 없었음
 

진단

-대변과 객담검사에서 충란 발견 X
-폐흡충에 대한 피내반응검사 양성
-흉부 방사선검사에서 혼탁한 좌측 흉수가 보임
→폐흡충에 의한 흉막염 진단

 

치료

-praziquantel(프라지콴텔) 25 mg/kg로 1일 3회, 2일 복용 후 증상 완화
-외래 추적관찰에서 흉수는 사라짐
-폐흡충 피내반응검사는 두 달 후에 음성으로 전환
 

 

 

 

 

 

 

환자2 (어머니)


■57세 여자 환자

-심한 복통을 주소로 입원

-상복부 통증과 뱃속에 무엇인가 돌아다니고 있는 듯한 느낌

-환자는 민물게장을 함께 사는 아들(환자 1)과 여러 번 먹음

-특이 과거력은 없었음

 
■진단
-대변 충란검사 음성
-폐흡충에 대한 피내반응 검사 양성
-폐흡충에 대한 혈청 내 특이 IgG 항체가를 효소면역 측정법으로 측정한 결과 0.65 (정상범위 0.25이하)로 양성 반응
→환자에게서 폐흡충의 존재 확인
-간의 5, 6분절에 1-2 cm 길이의 저음영 부위가 관찰됨 (그림A)
-장간막과 대망의 전반적인 부종 혼탁한 복수 소견 (그림B)
→폐흡충에 의한 복막염 의심
 
■대장내시경검사 & 조직검사

-대장내시경검사에서는 항문환에서 10 cm 정도 떨어진 직장에 융기 병변이 보이는데, 침식된 미란 주변으로 충혈을 확인

-또한, 조직검사에서 점막내에 전체적으로 호산구가 특히 많은 염증 세포들의 침윤을 볼 수 있었음

→직장의 미란은 폐흡충의 이동 통로였을 가능성을 시사

 

■치료

-praziquantel(프라지콴텔) 25 mg/kg로 1일 3회, 2일 복용 후 증상 완화

-설사와 복통의 재발은 없었음

-복부 전산화단층촬영에서 복막염과 간의 병변이 소실

 
 
 
 

 

 

#Reference

1) http://www.kjg.or.kr/journal/view.html?uid=3528&vmd=Full

 

 

 

 

 

폐흡충 논문 리뷰

 End

BioinformaticsAndMe

갈색세포종 땀분비

 Start

BioinformaticsAndMe

 

 

 

 

갈색세포종 (Pheochromocytoma)


: 갈색세포종은 주로 부신수질에서 발생하는 종양

: 부신 이외에 교감신경이 분포되어 있는 대동맥 주위와 방광 등에서 발생

: 갈색세포종의 10~30%는 가족 유전성

: 아드레날린, 노르아드레날린 등의 카테콜라민이 과다하게 생산, 분비되면 혈관이 수축하여 고혈압이 발생

: 두통, 심계항진이 생길 수 있으며, 심장발작이나 뇌졸중이 생길 수 있음

: 어지럼증, 시력장애, 오심, 구토, 체중 감소, 이명, 변비, 땀을 많이 흘리는 증상, 사지가 차가워지는 증상이 나타나기도 함

: 갈색세포종은 보통 수술로 종양을 완전히 제거하여 치료

 

 

 

 

 

갈색세포종 땀분비


: 갈색세포종(phechromocytoma) 환자의 경우 땀 흘림(sweating)이 대표적인 증상

: 갈색세포종의 경우 종양으로 인해 에피네프린이나 노르에피네프린의 분비가 증가함

→그러나 체내 땀샘의 M3 receptor의 경우 아세틸콜린에 반응하여 작용하여 땀을 냄

: 이것은 에피네프린과 노르에피네프린은 Cardiac output을 증가시키는데, 이는 동시에 땀 생산도 증가시키는 것에 원인이 있음

: 심장이 빠르게 뛰면 뛸수록, 몸은 더 많은 산소가 필요하고 체온이 증가함

→이 호르몬들의 작용은 물질대사를 증진시키므로 반응이 증가됨과 동시에 체온도 상승함

: 이에 신체는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해 증가된 체온을 내리기 위해 땀샘을 동시에 자극하여 땀 분비를 촉진시켜 체온을 내림

 

 

 

 

 

 

 

#Reference

1) https://www.ekjm.org/journal/view.php?doi=10.3904/kjm.2012.82.4.403

2) https://ib.bioninja.com.au/standard-level/topic-6-human-physiology/66-hormones-homeostasis-and/feedback-loops.html

3) https://blog.naver.com/nh3065/220833954999

4)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2256
5) https://www.news-medical.net/health/Pheochromocytoma-Tumor-of-Adrenal-Gland-Tissue.aspx

 

 

 

 

갈색세포종 땀분비

 End

BioinformaticsAndMe

뇌척수 약물투여방법 Start

BioinformaticsAndMe





1. Epidural injection (경막외주사)


목적/용도

→척수에서 시작하여 팔이나 다리로 발산하는 통증을 치료하는 데 사용된다. 팔, 다리 통증은 종종 신경에 염증이 생기거나 압축이 될 때 발생하는데 epidural injection은 이 신경 근처에 마취제나 항염증제를 주사함으로써 염증과 통증을 줄인다. 또한 진단 목적으로 주사에 대한 즉각적인 반응을 면멸히 모니터링함으로써 특정 신경이 통증의 원인인지 판단한다.

장치

→spinal needle(22-gauge, 3.5 inches), fenestrated or chunk-drapes, isotonic contrast(e.g. 240mg/ml iohexol), local anesthetic(e.g. 1% lignocaine/lidocaine), steroid(e.g. betamethasone, betamethasone sodium phosphate), long-acting local anesthetic(e.g. bupivacaine), alcohol or iodine containing skin preparation




2. Facet joint injection (경추후관절주입)


목적/용도

→퇴행성 관절염으로 통증이 유발될 때 사용된다. 특히 목, 등의 중간 부위 통증 또는 요통을 치료할 때 이 방법을 이용하여 스테로이드를 주입한다. 마찬가지로 진단 목적으로도 사용된다.

장치

→syringe, hypodermic needle, local anesthetic(e.g. lignocaine) for subcutaneous infiltration, long spinal needle (typically 22 G), steroid (e.g. betamethasone), long-acting local anesthetic(e.g. ropivacaine, bupivacaine) for intra-articular injection




3. Sacroiliac joint injection (천장괄절주입)


목적/용도

→facet joint injection과 유사하다. 허리, 엉덩이 및 다리의 통증 치료 및 진단 목적으로 쓰인다.

장치

→syringe, hypodermic needle, local anesthetic(e.g. lidocaine) for subcutaneous infiltration, long spinal needle (typically 22 G), steroid (e.g. betamethasone), long-acting local anesthetic(e.g. ropivacaine, bupivacaine) for intra-articular injection




4. Provocation discography


목적/용도

→통증 진단을 위해서만 실시되는 척추 주사의 한 유형으로 통증 완화 효과는 없다. 요통의 외과적 치료가 고려되는 경우에만 종종 사용된다.

장치

→fluoroscope, alcohol, povidone-iodine scrubs, sterile gauze and drapes, tuberculin syringe and nonionic contrast agent for intradiscal injection, syringe and lidocaine 1% for local anesthesia, long spinal needle





5. Intracerebroventricular injection


목적/용도

→의학 연구에서 약물, therapeutic RNA, plasmid DNA, 바이러스 벡터, 약물 등을 실험 동물의 CNS에 도입하는 데 널리 사용된다. 뇌의 암세포를 파괴하는 데 이용될 수도 있다.

장치

→ommaya reservoir(small, dome-shaped device with a short tube), anticancer drug, needle, RNA, DNA




6. Stereotactic injection in brain (정위주사)


목적/용도

→항암제를 종양에 직접 주사하기 위해 컴퓨터와 3차원 스캐닝 장치를 이용한다. Stem cell 을 뇌에 직접 주입함으로써 퇴행성 뇌질환 치료에 이용할 수 있다.

■장치

→anticancer drug, 3-dimensional scanning device, needle, stem cell, cannula






#Reference

1)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5975048/

2) https://en.wikipedia.org/wiki/Stereotactic_injection

3) https://radiopaedia.org/articles/sacroiliac-joint-injection?lang=us

4) https://orthoinfo.aaos.org/en/treatment/spinal-injections/






뇌척수 약물투여방법 End

BioinformaticsAndMe

 

약물 투여 경로

 Start

BioinformaticsAndMe

 

 

 

 

1. 경구투여법 (Oral medication; PO)


: 입으로 직접 약물을 먹인다.

: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주사제와 비교하여 약효가 느리고 위장관의 조건에 영향을 받는다.

: 투여량을 정확하게 하기 위해 경구 존데를 사용하여 투여한다.

: 거의 대부분의 동물에 적용 가능하다.

 

 

 

2. 피하주사법 (Subcutaneous Injection; SC)


: 피하에 시료를 주입하는 방법이다.

: 지방이 많은 부위는 흡수 속도가 낮아 부적절하다.

: 대개 어깨 돌기 사이의 경배부 피하 부위가 많이 이용된다.

: 피부가 얇으므로 유출에 주의하여야 하고 주입에 성공하면 콩알 크기로 부풀어 오른다.

: 혈관, 신경이 다칠 염려가 없고 대량 투여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자극성 물질에 주입에는 부적절하고 흡수변이성이 늦다는 단점이 있다.

 

 
 

3. 근육주사 (Intramuscular Injection; IM)


: 근육 조직에 주사 바늘을 삽입하여 시료를 투여하는 방법이다.

: 대퇴부, 둔부 근육에 대개 주사를 하는데 종종 조직 장애 발생을 일으키니 주의하여야 한다.

: 흡수 속도가 빠르고 지용성 물질 투여에 유용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실험 동물에게 조직 손상을 가하거나 통증을 유발시킨다는 단점이 있다.

 

 

 

4. 정맥주사 (Intravenous Injection; IV)


: 정맥 내에 주사바늘을 찔러서 시료를 주입하는 방법으로 가장 빠르고 정확한 방법이다.

: 대량 투여 또한 가능하다.

: 하지만 숙련도를 요하기도 하고 혈관으로 바로 투여하기에 잘못 투여하였을 경우 회복시킬 수 있는 방법이 없고 다양한 반응이 나올 수 있다.

 

 

 

5. 피내주사 (Intradermal Injection; ID)


: 소량의 주사액을 표피 바로 아래층인 진피에 주사하는 방법이다.

: 면역 알레르기 실험에 주로 이용된다.

: 마우스나 랫트는 피부가 얇아 고도의 기술을 요구한다.

: 주사기 바늘이 피부 표면과 수평으로 유지하면서 2~3mm의 피부 내로 삽입한다.

: 삽입한 후에는 저항감 감지로 삽입 여부를 판단한다.

: 모든 비경구 투약 중 가장 흡수가 느리다.

백신의 접종방법 삽화

 

 

 

6. 복강주사 (Intraperitoneal Injection; IP)


: 설치류에서 주로 이용되는 방법으로 흡수 면적이 넓어 흡수 속도가 빠르다.

: 자극적인 시료가 투여될 경우 복막염을 유발시킬 염려가 있다.

: 복부의 왼쪽 혹은 오른쪽으로 주입을 한다.

: Needle 내 혈액이 역류할 경우 정맥 혹은 장을 손상시킬 수 있다.

 

 

 

 

 

 

#Reference

1) http://www.backache.co.kr/index.php/%ED%86%B5%EC%A6%9D%EC%9D%98_%EA%B8%B0%EC%A0%84_%EB%B0%8F_%EC%95%BD%EB%AC%BC_%EC%B9%98%EB%A3%8C

2) http://blog.naver.com/msnayana/80136032302

3) https://www.msdmanuals.com/ko/%ED%99%88/%EC%95%BD%EB%AC%BC/%EC%95%BD%EB%AC%BC-%ED%88%AC%EC%97%AC-%EB%B0%8F-%EC%95%BD%EB%AC%BC-%EB%8F%99%ED%83%9C/%EC%95%BD%EB%AC%BC-%ED%88%AC%EC%97%AC

4) http://www.koshic.org/board/list.html?num=5264&start=0&sort=name%20desc&code=pds2&key=&keyword=

5) https://www.g-health.kr/portal/health/healthinfo/info.do?cNo=200470&menuNo=200470&viewPage=con415/healthaa_0038.jsp

 

 

 

 

약물 투여 경로

 End

BioinformaticsAndMe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