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식 (Asthma)

start

BioinformaticsAndMe

 

 

 

천식(Asthma) 증상


: 기침이 있다
: 그 기침이 밤이나 이른 아침에 더 심해진다
: 숨 쉬는게 답답하다
: 숨쉴 때 쌕쌕/가랑 거리는 소리가 난다 (Wheezing)
: 비염 심하거나 감기 걸렸을 때, 상기 증상들이 악화된다

 

 

 

 

 

#Reference

1) https://www.mycirclecare.com/what-is-asthma-circlecare/

 

 

 

천식 (Asthma)

end

BioinformaticsAndMe

 

 

 

'Medicine > IMP'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감기 (Common cold)  (0) 2023.03.15
알레르기비염 (Allergic rhinitis)  (0) 2022.06.01
폐렴(Pneumonia) 종류  (0) 2022.04.23
호흡곤란(숨참) 감별진단  (0) 2022.03.23
기관지 천식 (bronchial asthma)  (0) 2021.07.18

2022년 『개인 맞춤형 미생물 유전체 분석』 교육생 모집 공고

2022년도 미생물 유전체 데이터 분석 교육은 현 바이오산업 실무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미생물 유전체 분석기법을 배울 수 있는 교육입니다. 소그룹 규모로 진행되는 개인맞춤형 교육을 통해 수료생이 이후 독립적으로 미생물 NGS 데이터 분석을 진행할 수 있도록 커리큘럼이 구성되어 있습니다. 실데이터 이용한 미생물 유전체 분석 과정에 관심있으신 분들의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모집 대상 미생물 유전체 관련 대학원생 및 연구원 혹은 관심있는 타 분야 대학원생
모집 인원 20명
선정 방식 신청자 대상 서류 심사를 통해 교육생 모집
교육 기간 2022년 6월 13일 (월)부터 16주간 (주1회 4시간)
교육 내용
1) 미생물 NGS 데이터 분석기법을 배울 수 있는 기회 제공
2) 16주간 소그룹 규모(4-5명)로 진행되는 개인 맞춤형 교육
참여 혜택 - 바이오산업 실무에서 사용되는 분석기법 활용을 위한 실습 경험 지원  
- 수료증 발급 
- 교육기간 내 분석결과 학술지 제출 경험 지원
- 교육비 전액 지원
접수 기간 5/9(월) ~ 6/6(화) 오후 5시, 4주간
접수 방법 홈페이지(http://egnome.co.kr/)를 통해 신청서 양식 작성 후 신청 서류
함께 이메일 제출 (biedu@egnome.co.kr 메일 제목: [지원] 이름)
문  의  처 ㈜ 이지놈
(전화) 02-876-8820; (이메일) biedu@egnome.co.kr

 

삼진제약 채용 홈페이지

CTO (본부직속) R&D ▶ 시스템스 대사공학
- Experimental Systems Biology 및 발효
- 발효와 오믹스를 활용한 균주 정밀 진단 기술 개발
- 균주 진단 실험 디자인 및 수행
- 진단 데이터 분석을 통한 균주 최적화 전략 수립

※ 우대사항 :
- 대사공학 전공 및 경험자
- 발효기 사용 경험자
- 미생물 대사 연구 경험자
- Omics (transcriptomics, proteomics, metabolomics, fluxomics, genome-scale metabolic modeling) 실험/연구 경험자

▶ 바이오파운드리 (Biofoundry)
- Highthroughput 실험 및 자동화
- 대사경로/균주 개발과 최적화에 필요한 자동화 파이프라인 개발 및 운영
- 효소 발굴/개량과 인공지능을 활용한 효소진화 실험 디자인 및 highthroughput 자동화 파이프라인 개발 및 운영
- Microplate 밀리리터 스케일 균주 평가/진단 highthroughput 자동화 파이프라인 개발 및 운영

※ 우대사항
- 대사공학/생명과학 분야의 자동화 구축 및 실험 경험자
- 효소개량 전공 및 경험자, 미생물 대사 연구 경험자

▶ Bioinformatics
- 세포공장 유전자 네트워크 정보 DB 구축
- 대사공학적 활용을 목적으로 세포공장 호스트 균주의 글로벌 유전자 네트워크 정보 DB 구축
- 글로벌 유전자 네트워크 발현 데이터의 통계학적 분석과 이를 통한 균주 최적화 전략 수립

※ 우대사항
- Bioinformatics/대사공학/생명과학 전공 및 연구 경험자
- 유전자 연구 관련 통계학적 접근법 및 Python 활용 경험자
- DNA & RNA sequencing 분석 경험자

 

 

LG 화학 채용 홈페이지

 

셀트리온 채용 홈페이지

사지부동 (Limb length discrepancy)

start

BioinformaticsAndMe

 

 

 

 

사지부동 (Limb length discrepancy)


: 사지의 길이 차이를 비교하여 보행장애(gait abnormality)를 평가
    1) ASIS부터 medial malleolus까지 길이를 측정

    2) 한쪽 다리가 다른 쪽 보다 짧은 경우(>2cm) gait abnormality가 발생할 수 있음

    3) 원인으로는 외상/감염/종양으로 인한 성장판 손상이나 선천성 편측 비대 등이 있음

 

 

 

#Reference

1) https://iraniansurgery.com/en/causes-of-limb-length-discrepancy/

 

 

 

사지부동 (Limb length discrepancy)

end

BioinformaticsAndMe

 

 

 

'Medicine > 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릎] 측부인대 신체진찰  (0) 2023.04.12
[무릎] 전방십자인대 신체진찰  (0) 2023.04.12
토마스 검사 (Thomas test)  (0) 2022.05.13
패트릭 검사 (Patrick test)  (0) 2022.05.13
트렌델렌버그 검사 (Trendelenburg test)  (0) 2022.05.13

토마스 검사 (Thomas test)

start

BioinformaticsAndMe

 

 

 

 

토마스 검사 (Thomas test)


: Hip joint(고관절) 굴곡 구축(Contracture)을 평가하는 검사

1) 침대 끝에 앉고, 깍지 낀 손으로 한쪽 무릎을 가슴에 닿도록 잡기

2) 이 상태로 뒤쪽으로 머리를 대고 눕기

3) 이 검사를 통해 3가지를 확인

    -iliopsoas m.이 단축(short)됐다면, 허벅지가 테이블에 닿지 않는 positive sign

    -rectus femoris m.이 단축됐다면, 무릎이 펴지는 positive sign

    -tensor fascia latae가 단축됐다면, 다리가 외전된 psotivie sign

 

#Reference

1) https://www.surgeryjournal.co.uk/article/S0263-9319(19)30261-3/fulltext 

 

 

 

토마스 검사 (Thomas test)

end

BioinformaticsAndMe

 

 

 

패트릭 검사 (Patrick test)

start

BioinformaticsAndMe

 

 

 

 

패트릭 검사 (Patrick test; FABER test; Figure 4 test)


: FABER test라 불리기도하며, Hip Flexion(F), ABduction(AB), External Rotation(ER)의 Hip joint(고관절) 운동을 평가


1) 환자의 환측 발목을 반대측 무릎 위에 올리고, 반대편 ASIS(Anterior Superior Iliac Spine) 누르면서 고정
2) 환측 무릎(아래 그림에선 오른쪽)을 천천히 아래 쪽으로 내림
3) 눌러주는 무릎이 반대편 무릎 높이보다 아래로 내려와야 함
4) 이 때, Hip flexors(Psoas major, Psoas minor, Iliacus, Sartorius) 부착 부위에 통증이 있으면, positive sign
5) 이것은 Sacroiliac joint, hip joint, iliopsoas muscle에 문제가 있음을 시사

 

 

#Reference

1) https://orthofixar.com/special-test/patrick-test/

2) https://physio-study.com/faber-test/

 

 

 

패트릭 검사 (Patrick test)

end

BioinformaticsAndMe

 

 

 

트렌델렌버그 검사 (Trendelenburg test)

start

BioinformaticsAndMe

 

 

 

 

트렌델렌버그 검사 (Trendelenburg test)


: Hip joint(고관절)를 안정화시키는 Hip abductor muscle의 기능을 평가하는 검사

    *Hip abductor muscle : Gluteus medius, Gluteus minus, Tensor fasciae latae, Sartorius

 

1) 양 손을 올리고 한 쪽 다리로만 30초 동안 서있기
2) 이 때, 들고 있는 쪽의 hip이 drop 되면 positive sign (왼쪽그림)

3) 환측 다리(여기선 왼쪽)로 섰을 때 반대측 골반이 아래로 떨어지는 것

4) Weakness of Gluteus medius m 또는 Hip joint dislocation에서 관찰 가능

5) iliac crest level(L4)로 유지하거나, 들고 있는 쪽의 hip 상승한다면 negative sign (오른쪽그림)

 

 

 

 

#Reference

1) Hardcastle, P. H. I. L. I. P., and S. Y. D. N. Nade. "The significance of the Trendelenburg test." The Journal of bone and joint surgery. British volume 67.5 (1985): 741-746.

 

 

 

 

트렌델렌버그 검사 (Trendelenburg test)

end

BioinformaticsAndMe

 

 

 

'Medicine > 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릎] 측부인대 신체진찰  (0) 2023.04.12
[무릎] 전방십자인대 신체진찰  (0) 2023.04.12
사지부동 (Limb length discrepancy)  (0) 2022.05.13
토마스 검사 (Thomas test)  (0) 2022.05.13
패트릭 검사 (Patrick test)  (0) 2022.05.13

매독(syphilis) 임상양상

start

BioinformaticsAndMe

 

 

 

 

 

 

매독 (Syphilis)


: 매독은 임상 경과에 따라, 조기 매독(early syphilis)와 후기 매독(late syphilis)로 나뉨

: 조기 매독(early syphilis)은 1기, 2기, 조기잠복 매독으로 높은 감염성을 보임

: 후기 매독(late syphilis)은 3기, 후기잠복 매독이 포함

 

 

 

1기 매독


: 타인의 매독 병변에 접촉한 50~75%에서 감염이 발생

: 균이 침범한 부위에 10~90일(평균 3주)의 잠복기를 거쳐 굳은 궤양이 발생

: 초기 지저분한 붉은 반점으로 시작해 무통성의 궤양(Painless chancre)으로 진행

: 주로 귀두와 음순과 같은 성기부에 1cm 크기의 단일 병변으로 발생

: 얼굴, 몸통, 사지, 손가락 등의 성기 외 부위에서도 발생 가능

: 굳은 궤양 주변 림프절이 커질 수 있으나, 압통이나 화농은 없음

 

 

 

2기 매독


: 굳은 궤양 발생 후 수 개월(3~12주) 내에 혈행/림프성 전파를 통해, 광범위한 피부 병변이 보임

: 피부 증상 이외에도 두통, 미열, 근육통, 식욕부진 등과 같은 전신 증상이 동반

: 발진은 반점, 구진, 구진인설성 병변, 농포, 결절 등의 다양한 양상을 보일 수 있음

: 이 외에도 색소성 이상, 성기와 항문 주위 편평 콘딜로마, 매독성 탈모증이 나타남

 

 

 

3기 매독


: 치료받지 않은 잠복매독의 약 1/3에서 진행되며, 3기매독, 심혈관 매독, 신경 매독이 발생할 수 있음

: 3기 매독은 흔히 피부, 간, 뼈 등에 고무종(gumma)의 형태로 발생

: 심혈관 매독은 T. pallidum이 근위부 대동맥으로 침입해 대동맥염/대동맥류/대동맥 판막부전을 일으킴

: 신경 매독(neurosyphilis)은 급성 뇌막염, 진행성 마비, 척수 매독, 시신경 위축 증상을 보일 수 있음

 

 

 

잠복 매독


: 잠복 매독은 매독 혈청검사에서 양성 반응이나 임상증세가 없는 경우

: 치료되지 않는 환자의 약 2/3에서 잠복매독으로 진행되어 감염을 유발할 수 있음

: 임산부의 경우 태아에서 선천 매독을 일으킬 수 있음

: 감염이 의심되는 시기에 따라 조기(감염 후 1년 이내)와 후기(1년 이후)로 분류

 

 

 

 

 

 

 

 

 

#Reference

1) 최규철, and 송지영. "최근 매독 임상양상과 매독 혈청 검사에 대한 고찰." 대한의사협회지 52.1 (2009): 1100-1105.

2) https://www.grepmed.com/images/12191/diagnosis-signs-syphilis-stages-symptoms

3) https://www.mayoclinic.org/diseases-conditions/syphilis/symptoms-causes/syc-20351756

4) Cruz, Adriana R., et al. "Secondary syphilis in Cali, Colombia: new concepts in disease pathogenesis." PLoS neglected tropical diseases 4.5 (2010): e690.

5) Cherniak, William, and Michael Silverman. "Images in clinical medicine: Syphilitic gumma."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71.7 (2014): 667-667.

 

 

 

 

 

매독(syphilis) 임상양상

end

BioinformaticsAndMe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