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 공고 제2020-261

 

공무원임용시험령47조에 따라 농촌진흥청 2020년도 연구직 국가공무원 경력경쟁 채용시험 계획을 다음과 같이 공고하오니 참신하고 유능한 인재의 많은 응모 바랍니다.

20201016

농 촌 진 흥 청 장

텍스트 상자: 1. 채용분야 및 선발예정인원(총 19명)

 

가. 채용예정 직급 및 인원

 

임용예정 기관

채용예정

   

직급

직류별 채용인원

비고

 

 

국립농업과학원

 

 

11

 

 

농업연구사

농업환경             4

생명유전             2

산업곤충             1

농식품개발 1

농촌생활             2

            1

 

국립식량과학원

6

농업연구사

            5

작물보호             1

 

 

국립축산과학원

 

2

농업연구사

농업경영             1

 

수의연구사

            1

 

 
나. 세부전공 및 담당예정업무

 

임용예정   

채용 직급

채용 직류

채용 예정

인원

세부전공

담당예정업무

응시 코드

 

 

 

 

 

국립농업 과학원

 

 

농업 연구사

 

 

농업 환경

 

 

1

 

 

토양화학성 평가 연구

  공익직불제 정책 대응 토양화학성 평가

관리기준 설정 및 토양질 지표 연구

   토양화학성분과 토양과의 흡착·탈착 상호반응 연구

   토양화학성분의 토양 내 이동 및 순환

등 모델화 연구

 

 

601

 

 

농업 연구사

 

 

농업 환경

 

 

1

 

유기농 토양 평가·활용 연구

   토양 중 유기물 행동 예측모델 개발 작물생육 영향 연구

  유기농 토양 질 평가지표 개발, 평가

활용 연구

  유기농 최적 토양 및 양분관리기술 개발

및 활용 연구

 

 

602


임용예정   

채용 직급

채용 직류

채용 예정

인원

 

세부전공

 

담당예정업무

응시 코드

 

 

 

 

 

  농업유전자원 빅데이터 정보 분석

 

 

 

 

 

 

- 유전자원의 표현형 정보(생육, 병저항성,

 

 

 

농업 연구사

 

생명 유전

 

1

 

농업유전자원 정보시스템 연구

기능성, 이미지 )유전체 정보(Genotype, genome ) 빅데이터 연관분석 우수형 발굴 모형 개발

   농업유전자원 정보 관리, 분석, 시스템

 

603

 

 

 

 

 

및 서비스 플랫폼 관리

 

 

 

 

 

 

- 대상 : 농업유전자원통합관리시스템, 홈페이지

 

 

 

 

 

 

농업 연구사

 

 

 

 

농업 환경

 

 

 

1

 

 

 

미생물 활용 온실가스 연구

  농경지 토양미생물의 온실가스 배출 감축에 미치는 동태 기작 연구

-       온실가스 배출 관여 미생물 활용 감축 신기술 개발 적용 종합화

  현장 보급형 농경지 온실가스 감축 신기술

개발 및 방법론 구축

-     신기술 분야 : 온실가스 관련 토양 미생물, 농업자재

 

 

 

604

 

 

 

 

 

  미생물 시스템생물학 기반 대사경로 분석 연구

 

 

국립농업 과학원

 

농업 연구사

 

생명 유전

 

1

미생물 대사공학 기반 소재화

연구

  시스템생물학과 합성생물학 기반 미생물 생합성 경로 재설계 연구

  농업미생물 유래 기능성 물질 생산 최적화

 

605

 

 

 

 

 

연구

 

 

 

 

 

 

  기능성식품 영양 질환 바이오마커 개발

 

 

 

농업 연구사

 

농식품 개발

 

1

기능성식품 소재 생물정보

연구

(인실리코 기반연구)

  대사체, 전사체, 유전체 멀티오믹스 분석

  오믹스 정보의 통합 분석을 통한 기전 해석

 

606

 

 

 

 

 

모델링

 

 

 

 

 

 

농업 연구사

 

 

 

 

산업 곤충

 

 

 

 

1

 

 

 

양봉산물 식의약소재 개발 연구

  천연물 분석기술 이용 양봉산물 기능 성분의 정밀 데이터 구축

  양봉산물의 생리활성 물질 탐색 및 기작

구명

  양봉산물 기능성 물질 이용 ·의약, 사료용 소재 개발

   양봉산물 생산이력 및 품질관리 시스템

구축

 

 

 

 

607

 

 

 


임용예정   

채용 직급

채용 직류

채용 예정

인원

 

세부전공

 

담당예정업무

응시 코드

 

 

 

 

 

 

 

 

 

 

국립농업 과학원

 

 

 

농업 연구사

 

 

 

농업 환경

 

 

1

 

농산물 수확후 위생관리 연구

  농산물 수확 처리 식중독균 오염경로

및 저감화 기술개발

  농산물 식중독균 위해성 평가 미생물 안전관리기준 설정 연구

  단순가공 농산물 위생관리 및 GAP 제도

정책지원 연구

 

 

608

 

 

농업 연구사

 

 

농촌 생활

 

 

1

 

스마트 농작업안전 연구

  ICT 기반의 농업인 안전재해 예방관리 기술

개발 및 실용화 연구

  스마트 기술 적용 농작업 편이/보호 장비 개발 및 효과 평가 연구

  스마트 농업인 안전관리 시스템 개발 연구

 

 

609

 

 

농업 연구사

 

 

농촌 생활

 

 

1

 

농촌공간 빅데이터 연구

  농촌공간계획개발 데이터 구축 활용

연구

  디지털 트윈 기술 활용 농촌지역 활성화 계획 연구

  농촌 지역개발정책 효과 분석 예측 연구

 

 

610

 

 

농업 연구사

 

 

 

농공

 

 

1

 

 

농업시설 에너지 절감 연구

  온실기초 구조의 최적화에 의한 고효율 에너지 시스템 설계 기술 연구

  온실 피복재/보온커튼의 성능내구성 향상

등 에너지 절감 기술 연구

  농업 시설환경 최적화 기술 연구

 

 

611

 

 

 

 

 

 

국립식량 과학원

 

 

 

농업 연구사

 

 

 

작물

 

 

1

 

 

디지털 정밀 육종

  디지털 정밀육종()위한 분자표지 활용

유전자 탐색 및 집적

   분자육종기술 활용 벼 육종효율증진 우량계통 육성

  벼 유전체 정보 활용 유전자형과 표현형

연관 빅데이터 구축

 

 

701

 

 

 

 

농업 연구사

 

 

 

 

작물

 

 

 

1

 

 

 

 

유용대사체 구명 연구

  식량작물 유용대사체 분리 정제, 분석

핵자기공명분광기(NMR) 해석을 통한 유용 대사체(화합물) 화학구조 동정

  식량작물의 대사체 프로파일링을 통한 품질 판별 기술개발 기능성 평가의 상관 관계 분석

   식량작물의 부가가치 향상을 위한 유효

성분 증진 및 산업화 소재 개발

 

 

 

702


임용예정   

채용 직급

채용 직류

채용 예정

인원

 

세부전공

 

담당예정업무

응시 코드

 

 

 

 

 

 

 

 

 

 

 

 

국립식량 과학원

 

 

농업 연구사

 

 

작물

 

 

1

 

 

분자육종 연구

   내습성 등 내재해 옥수수 계통 육성 품종 개발

  옥수수 주요 농업형질 종실 특성 관련

디지털육종 기반 구축

  옥수수 배가 반수체 육종기술 확립 연구

 

 

703

 

 

 

농업 연구사

 

 

 

작물 보호

 

 

 

1

 

 

진균병 및 병저항성 연구

  식량작물 진균병 저항성, 병원성 검정 저항성 변이 연구

  식량작물 진균병 저항성 유전자 기능 연구

및 저항성 marker개발

  주요 발생 실태 조사와 저항성 검정 및 방제법 개발

 

 

 

704

 

 

농업 연구사

 

 

작물

 

 

1

 

작물 생리·생태 및 작부체계 연구

  기후변화에 따른 논 작부체계 모델 개발

   논 이용 식량작물의 경지이용효율 증진 연구

  기후변화 대응 논 이용 작물의 생리·생태

연구

 

 

705

 

 

 

농업 연구사

 

 

 

작물

 

 

 

1

 

 

 

다배체 식량작물 육종 연구

  다배체 식량작물(고구마 ) 분자육종 체계 및 실용 기술 기반 구축

   다배체 식량작물 omics 연구를 통한

저항성 품종 육성

  식량작물 주요 발생 실태 조사와 저항성 검정 및 방제법 개발

 

 

 

706

 

 

 

 

 

 

국립축산 과학원

 

 

 

 

농업 연구사

 

 

 

농업 경영

 

 

 

1

 

 

 

농업경영

연구

  농산물소득조사, 표준진단표 등을 활용한 농업경영분석 및 컨설팅

  농업R&D 예비타당성 분석 신기술·

신품종 도입농가 경제성분석

  농업경영모델 및 생산자 경영전략 개발

  신제품·신기술의 시장성 평가와 시장진입 활성화 방안 연구

 

 

 

801

 

 

수의 연구사

 

 

수의

 

 

1

 

 

가축질병 연구

  축산원 보유가축 질병진단, 치료 및 예방

   산업동물 임상병리, 번식 및 건강관리, 임상·기초 연구

  가축전염병 예방 및 차단방역관리 연구

 

 

802


텍스트 상자: 2. 근거 법령

  국가공무원법28조제2항제2, 3, 10

  공무원임용령16조제1항제2, 3, 10

  공무원임용시험령27, 29

  연구직 지도직 공무원의 임용 등에 관한 규정7

  공무원 임용시험 실무수습 업무처리지침(인사혁신처 예규)

텍스트 상자: 3. 응시자격 요건

 

    채용방법 : 경력경쟁채용시험

    응시자격요건 : 최종(면접)시험 시행예정일 기준

   응시연령 : 20세 이상(2000. 12. 31이전 출생한 )

   대한민국 국적을 가진 자

복수국적자(대한민국 국적과 외국 국적을 함께 가진 사람을 말함)는 국가공무원법 제26조의3 제2항 공무원임용령 제4조에 따라 임용일 전까지 외국국적을 포기해야 합니다.

   남자의 경우 병역을 필하였거나 면제된 , 최종(면접)시험 예정일 기준 6개월 전역이

가능한 자

  

텍스트 상자: ◦	국가공무원법 제33조(결격사유)
∙ 피성년후견인 또는 피한정후견인
∙ 파산선고를 받고 복권되지 아니한 자
∙ 금고 이상의 실형을 선고받고 그 집행이 종료되거나 집행을 받지 아니하기로 확정 된 후 5년이 지나지 아니한 자
∙ 금고 이상의 형을 선고받고 그 집행유예 기간이 끝난 날부터 2년이 지나지 아니한 자
∙ 금고 이상의 형의 선고유예를 받은 경우에 그 선고유예 기간 중에 있는 자
∙ 법원의 판결 또는 다른 법률에 따라 자격이 상실되거나 정지된 자
∙ 공무원으로 재직기간 중 직무와 관련하여「형법」제355조 및 제356조에 규정된 죄 를 범한 자로서 300만원 이상의 벌금형을 선고받고 그 형이 확정된 후 2년이 지나지 아니 한 자
∙「형법」제303조 또는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제10조에 규정된 죄
를 범한 사람으로서 300만원 이상의 벌금형을 선고받고 그 형이 확정된 후 2년이 지나지 아 니한 사람(2019.4.16. 이전에 발생한 행위에 적용)

국가공무원법 33 호의 결격사유에 해당하지 않으며 공무원임용시험령 관계 법령에 의하여 응시자격을 정지당하지 아니한


텍스트 상자: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제2조에 규정된 죄를 범한 사람으로서 100 만원 이상의 벌금형을 선고받고 그 형이 확정된 후 3년이 지나지 아니한 사람 (2019.4.17. 이후에 발생한 행위에 적용)
∙ 미성년자에 대하여「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제2조에 따른 성폭력범죄,
「아동·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 제2조제2호에 따른 아동·청소년 대상 성범죄를 저질러 파면·해임되거나 형 또는 치료감호를 선고받아 그 형 또는 치료감호가 확정된 사람(집행유예를 선고받은 후 그 집행유예기간이 경과한 사람을 포함)(2019.4.17. 이후에 발생한 행위에 적용)
∙ 징계로 파면처분을 받은 때부터 5년이 지나지 아니한 자
∙ 징계로 해임처분을 6받은 때부터 3년이 지나지 아니한 자

 

   선발단위별 응시자격요건 기본사항

 

공통

응시자격요건(경력, 학위, 자격증) 기재된 사항 1 이상에 해당되면 응시가 가능하나, 응시원서 작성 시에는 경력, 학위, 자격증 하나만 선택하여야

응시자격요건을 정확히 기재하지 않거나 2개 이상 기재할 경우 불합격 처리될 있음

응시자격요건에 해당하는 경력의 계산, 자격증 학위 소지 여부는 최종시험(면접) 예정일(2020.12.11. 예정) 기준으로 판단함

응시자격요건에 해당하는 경력, 자격증 학위는 서류전형 우대대상에서 제외함

예) ‘박사학위’를 응시요건으로 사용한 경우 우대요건에 중복적용 안됨(단, 석사-응시요건, 박사-우대요건 가능)

 

경력의 범위

경력 해당 응시자격요건에 제시된 관련분야에서 근무하거나 연구를 수행한 경력을 의미하며, 반드시 경력(재직)증명서에 의해 증명이 가능한 것에 한함

-    대학조교 경력과 학위취득에 소요되는 학위과정 경력은 제외하되, 국·공립 대학 사립 대학교에서의 강의 또는 연구 경력은 포함

-    회사의 폐업 등의 사유로 경력증명서를 발급받기 어려운 경우는 경력을 입증할 수 있는 다른 서류로 보완 가능(예-근로계약서, 인사기록카드, 업무분장내역 등)하며, 이때 검증을 위해서 폐업자에 대한 업종 등의 정보내역 사실증명서(홈택스 발급 가능), 4대보험 자격득실 이력확인서 1종, 소득금액증명서를 추가 제출(①+②+③ 모두제출)하여야 함.

-    경력(재직)증명서는 근무기간, 근무부서, 직위(직급), 담당업무, 상근여부(주00시간) 등이 명시되어 있어야 하며, 경력이 불명확할 경우 해당 경력이 불인정될 있음을 유의


담당업무는 관련 직무분야와의 연관성을 판단할 있도록 상세히 기재하며, 기재가 불가할 경우 추가적인 증빙자료를 통해 증명이 가능해야

증명서는 직인날인, 발급확인자 성명 및 서명(또는 도장) 기재(확인용 연락처 포함)

-    기간제 및 시간제 근무경력의 경우 주 40시간 기준에 비례하여 인정

시자 요건으로 시하 ,  원임16조에2따라 최종경력을 기준으로 시험공고일(2020.10.16.) 현재 퇴직 3년이 경과되지 아니 하여야

2017.10.15.부터 2020.10.15. 까지 선발 단위별 응시요건에서 제시하고 있는 관련분야 경력이 하루라도 있어야 응시 가능

‘학위’ 및 ‘자격증’ 요건으로 응시하는 경우는 해당 없음

시자요건 관련 근무 요건 력으

 

·자격

학위요건의 관련전공학위논문 또는 전공분야기준으로 함

최종(면접)시험예정일 기준으로 자격증의 유효기간을 경과하는 효력을 상실한 자격증은 인정하지 않음

폐지된 자격증으로 국가기술자격법령 등에 의하여 자격이 계속 인정되는 자격증은 유효하게 인정됨

자격증 2개 이상 제출시 유리한 1개 자격증만 적용

 

우대요건은 서류전형 단계에서만 적용되므로, 우대요건에 해당하는 경력의 계산, 자격증 학위 소지여부, 연구논문 실적, 어학성적 등은 원서접수 마감일 (2020.10.29.)까지 취득(게재) 것에 한하여 인정됨

우대요건의 외국어능력검정시험은 2018.10.30.이후 실시된 시험으로 원서접수 마감일

(2020.10.29.)까지 점수가 발표된 시험에 한함

- 해당 검정시험기관의 정규(정기)시험 성적만을 인정하고, 정부기관·민간회사·학교 등에서 승진·연수·입사·입학(졸업) 등의 특정 목적으로 실시하는 수시·특별시험 등은 인정하지 않음

* 어학성적 우대기준(2018.10.30.이후 실시된 시험)

어학 종류

배점 구간

영 어 권

TOEFL

560 이상

548559

536547

524535

512523

(IBT 120)

(84 이상)

(8083)

(7679)

(7275)

(6871)

서울대, 한국외대,

65 이상

6364

6162

5960

5758

부산외대어학점수

영국문화원 IELTS

6.0 이상

5.85.9

5.65.7

5.45.5

5.25.3

G-Telp(Level )

77 이상

7476

7073

6669

6365

TOEIC

775 이상

738774

701737

664700

627663


 

 

TEPS

386 이상

368~385

350~367

331~349

315~330

비영

어권

서울대, 한국외대, 부산외대어학점수

65 이상

6364

6162

5960

5758

 

 

 

 

 

 

텍스트 상자: 4. 시험방법

. 1차 시험 : 서류전형

  임용예정 직위(직급)별로 정하고 있는 자격요건에 적합한지 여부를 서면으로 심사하여 적격 또는 부적격을 판단

  , 응시인원이 선발예정인원의 3배수 이상인 경우에는 근무경력, 논문(연구)실적, 학위,

직무수행계획, 어학능력 등 자체기준에 따라 3배수로 합격자 결정

응시자격 요건을 충족한 이후 초과되는 근무경력, 학위 등을 평가

1차 시험 합격자에 한하여 2차 시험에 응시할 있음

. 2차 시험 : 면접시험(서류전형 합격자)

   개인별 연구실적, 직무수행계획 발표 질의·응답·심층면접을 통해 공무원으로서의 자질과 직무수행능력, 발전가능성, 공직관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

-      자별로 연구무수계획 포인 (10 )

-      별질의 :  질의응답을 통해 ,  문성 평가(30 이내)

공무원임용 시험령 5 평정요소에 대하여 평가하여 평정결과 순위가 우수한 순으로 합격자 결정

-      평가항목 : 5 평정요소

공무원으로서의 정신자세         전문지식과 그 응용능력

사표 성과 리성       예의품행 성실성

의지력 가능성 각각 ·· 평정

  합격자 결정

-        불합격기준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중에서 평정결과 순위가 우수한 으로 합격자 결정


< 불합격기준 >

① 위원의 과반수가 5개 평정요소 중 2개 항목 이상을 “하”로 평정

② 위원의 과반수가 동일 평정요소에 대하여 “하”로 평정

< 평정순위 결정 >

텍스트 상자: 5. 시험일정 및 응시원서 접수 방법 등

* 합격기준에 해당하는 “상”의 개수가 많은 순, 상의 개수가 같으면 “중”의 개수가 많은 순으로 결정

. 응시원서 접수 : 2020.10.22.() 10.29.()

   접수처 및 접수방법 : 접수처에 방문접수 또는 등기우편 접수

 

방문 접수처

우편 접수처

농촌진흥청 운영지원과 인사팀(4)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농생명로 300

농촌진흥청 운영지원과(인사)       ( 54875)

* 응시원서는 1개 분야만 접수 가능하며, 다른 전공분야에 중복하여 원서를 접수할 없음

*      응시원서는 농촌진흥청 홈페이지(www.rda.go.kr) 행정정보-채용/인사정보-채용공고 게시판 에서 내려받아 사용

*      방문접수의 경우 평일업무시간(09:00~18:00, 12:00~13:00 제외)에만 접수 가능하고, 우편 접수는 접수마감일 소인분(빠른 등기)한하며, 택배 퀵서비스 등으로는 접수하지 않음

*      등기우편 접수자는 이력서상 기재한 휴대폰 문자메시지로 응시번호를 안내할 예정이며,

응시표는 면접심사 당일 교부 예정

코로나19로 ‘사회적거리두기’ 실천을 위해 가급적 우편접수를 권장함

. 시험일정

 

원서접수기간

(접수시간 : 09:00~18:00)

서류전형 합격자 발표 (면접시험 공고)

면접시험

최종합격자 발표

10.22. ~ 10.29.

(점심시간 12:00∼13:00 제외)

11.27.

12.9. ~ 12.11.

12.31.

   시험일정 장소, 합격자 발표 시험시행과 관련된 사항은 농촌진흥청 홈페이지

(http://www.rda.go.kr  행정정보/채용인사정보) 공고합니다.

   상기 일정은 응시인원, 시험장 사정, 서류검증 소요기간, 코로나19 확산 추이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텍스트 상자: 6. 제출서류

 

   

  

1.  제출서류 총괄표

별지 제1호 서식

- 제출 서류 목록

필수

2. 응시원서

〔별지 제2호 서식〕

- 응시수수료 : 7천원 상당의 정부수입인지(우체국 판매), 전자수입 인지도 가능(용도:행정수수료용)

필수

3. 이력서

〔별지 제3호 서식〕

- 증빙이 가능한 관련 분야경력 및 우대사항 등 기록

필수

 

4. 자기소개서

〔별지 제4호 서식〕

- A4용지 2매 이내 분량으로 작성

- 학교명, 출생지, 부모직업, 근무기관명 등 불필요한 개인 신상을 직· 간접적으로 파악할 있도록 기재할 경우 불이익(감정)을 받을 있음

 

필수

 

5. 직무수행계획서

〔별지 제5호 서식〕

- A4용지 5매 이내로 작성

- 학교명, 출생지, 부모직업, 근무기관명 등 불필요한 개인 신상을 직· 간접적으로 파악할 있도록 기재할 경우 불이익(감정)을 받으 있음

* 서류전형 합격자의 면접시험시 발표자료는 12.7.까지 별도 제출(ppt 등)

 

 

필수

 

6. 대학교 졸업증명서

- 시험위원 선정 제척 시 사용

* 전형위원에게 학교명 등이 제공되지 않음

 

필수

 

 

7. 학위(졸업)증명서 및 학위논문

〔별지 6호 서식〕

- 학위기 또는 졸업증명서 사본 제출 요약서[별지 제6호 서식] 작성

- 응시요건 우대요건 입증 위한 학위증명서 제출

*   학위논문표지, 제목, 발표자, 지도교수, 논문심사위원이 표시되어 있는 페이지 사본 첨부

*   국외 학위의 경우 한글 번역본 첨부

- 졸업예정자는 학위수여(졸업)예정증명서 첨부

*   면접일까지 학위취득 사실을 증명하여야 면접 응시 가능

 

 

 

해당자에 한함

 

 

 

 

8. 경력(재직)증명서

별지 7호, 8호 서식

* 관련분야만 제출

- 관련분야 근무경력 요약서[별지 제7호 서식] 작성 경력증명서 제출

- 재직기간, 직위(급), 담당업무(구체적으로), 주당 근무시간, 발급 담당자 성명·전화번호·Fax번호, 직인 등 반드시 포함(발급자 미포함시 하단 별도 기재 가능)

*   증명서류 미제출 및 미비(담당업무 미기재)한 경우와 회사의 폐업 개별적 사유로 경력을 증명하지 못할 경우 해당 경력이 불인정될 있음

*   담당업무는 직무분야와 연관성을 판단할 수 있도록 상세히 기재하며,

기재가 불가할 경우 채용분야 직무와 업무 관련성을 입증할 수 있는 별도의 증빙서류(근로약정서, 인사기록카드, 업무분장내역 등) 첨부

 

 

 

 

 

해당자에 한함

9. 자격(면허)증 사본

- 응시자격요건 및 우대요건에 해당하는 자격(면허)증만 제출

해당자에 한함

 

10. 어학성적증명서 사본

- 2018년10월30일 이후에 실시된 시험으로 원서접수 마감일 기준 유효한 성적에 한함

해당자에 한함

 

 

11. 관련분야 연구논문 증빙서류

- 연구논문이 게재된 학술지명을 확인할 수 있는 해당 사이트에서 검색  하고 논문제목, 발표자가 표시된 페이지 제출

*    응시자격요건(학위논문 제외)을 충족한 이후 원서접수 마감일 까지 SCI(SCIE),한국연구재단 등재지에 게재된 연구논문에 한함

*   KCI 등재 후보지는 해당 없음

 

 

해당자에 한함


 

12. 주민등록초본

- 님성 지원자 필수, 병역 관련 사항이 기재되도록 발급

* 시험공고일 이후 또는 공고일로부터 6개월 이내 발행분 제출

해당자에 한함

13. 국민기초생활수급 또는 한부모가족증명서

- 기관(주민센터 등) 또는 인터넷(민원24시)에서 발급

* 해당자는 응시수수료 면제

해당자에 한함

14.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동의서

〔별지 제9호 서식〕

 

- 반드시 자필 서명 후 제출

 

필수

 

제출서류는 반드시 위의 순서대로 편철하여 제출하시기 바랍니다.

누구든지 경력경쟁채용시험에 관한 증명서류에 거짓 사실을 적거나 그 서류를 위조·변조하여 시험결과에 부당한 영향을 주는 부정행위를 알게된 때는 인사혁신처에 온라인 신고할 있습니다.


 

 

. 응시 희망자는 응시자격 요건이 적합한지를 우선 판단하여 원서를 제출해야 합니다. . 접수된 서류는 반환하지 않으나 원본으로 제출된 서류(: 졸업증명서)반환을 원하는 경우 관련서류를 반환해 드립니다. , 원본 반환시 사본은 시험실시기관

에서 일정기간 보관됩니다.

* 제출된 서류는 최종합격자 발표 후 1개월 이내 불합격자 희망자에 한하여 반환 . 응시원서 상의 기재 착오 또는 누락이나 연락불능, 합격자발표 미확인 등으로 인한 불이익은 응시자의 책임이 되므로, 합격자 발표일 시험일정과 합격여부를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국가공무원법45조의2 공무원임용시험령51조에 따라 임용시험에 있어서 부정행위를 하거나 시험에 관한 소명서류(응시원서에 기재한 경력, 학위, 자격증 등의 사항 포함)허위사실을 기재하여 시험결과에 부당한 영향을 주는 행위 를 한 자에 대하여는 당해 시험을 정지하거나 합격결정을 취소하고 그 처분이 있는 날부터 5년간 동 규정에 의한 시험이나, 그 밖의 국가공무원임용을 위한 시험의 응시자격이 정지될 있습니다. 부정행위로 처분 받을 경우 다른 무원 시험 실시기관이 조회할 있도록 인사혁신처에 개인정보를 제공할 정입니다.


. 합격자 결정 이후라도 신원조회, 채용신체검사, 자격검증 등을 통하여 결격사유가 발견되거나 제출서류가 허위사실인 경우 합격 또는 임용이 취소될 있습니다.

. 본 시험계획은 불가피한 사정에 의하여 변경될 수 있으며, 변경된 사항은 해당 시험일 7일전까지 우리 청 홈페이지(www.rda.go.kr) 및 인사혁신처 나라일터 (gojobs.go.kr)에 공고합니다.

. 최종합격자가 임용을 포기하는 등의 사정으로 결원을 보충할 필요가 있는 때에는 최종 합격자 발표일로부터 6 이내에 추가 합격자를 결정할 있습니다.

* 최종합격 예정자의 경력확인을 위해 4대 보험 자격 득실 이력 확인서(예: 고용보험 피보 험자격 내역서 등) 1종 근무기간에 대한 소득금액증명 등을 받아 근무기간 진위 여 부를 확인할 수 있음

. 신규채용 호봉은 채용 전의 경력을 감안하여 획정하며, 채용전 법령이 인정하는 경력(공무원 또는 민간 유사경력) 있는 경우 최대 10 %까지 인정됩니다. 다만, 응시자격 요건의 근무경력 호봉 책정 인정되는 유사경력 인정 범위가 다를 있기 때문에, 응시자격 요건을 족하여 시험에 합격한 경우라도 호봉 책정 해당 근무 경력이 인정되지 않을 있습니다.

- 개인별 호봉 책정은 임용 후 호봉경력 평가 심의회를 통해 결정

. 응시원서 접수결과 응시자가 선발예정인원과 같거나 적을 경우에는 1이상 재공고 시험을 시행할 있습니다.

. 해당 업무를 수행하는데 적격자가 없는 경우 채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계획에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은 국가공무원법 공무원 임용시험령등 관련 법령과 규정을 따릅니다.

. 자세한 사항은 농촌진흥청 운영지원과(063-238-0235)로 문의 바랍니다.



1.        

         적 : 한국바이오협회는 유전체 분석 관련 직종의 재직·연구자의 직무능력 향상을 위해 단기과정의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함.

   지원부처 :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교육주관 : 한국바이오협회

   : 유전체 분석 분야 재직·연구자 전문 교육

   교육일정 : 2020년 10월 26일~27일(2일 과정)

   교 육 비 : 무료 (단, 식비 및 교통비, 주차비는 본인부담)

 

2.      교육 프로그램

 

일 자

교육 시간

세부 내용

강 사 명

 

 

1일차

10/26

(월)

10:00~11:00

   Metagenome 연구개요 동향

 

 

마크로젠


윤선미 차장

11:00~12:00

   Metagenome과 NGS Data

12:00~13:00

점 심

13:00~14:00

   Metagenome 연구 방법론

14:00~15:00

   미생물 군집 다양성 분석 방법 (Pipeline)

15:00~17:00

   미생물 군집 다양성 분석 결과의 해석

 

2일차

10/27

(화)

10:00~12:00

   유의한 결과 도출을 위한 통계 분석 (기초)

 

 

마크로젠


윤선미 차장

12:00~13:00

점심 및 질의 응답

13:00~14:00

   유의한 결과 도출을 위한 통계 분석 실습

14:00~15:00

   Metagenome 데이터 시각화 분석

15:00~17:00

   Metagenome 데이터 시각화 분석 실습

 



   교육 내용

  -  1일                                                                                                           

   Metagenome 연구개요 및 동향

최근 트랜드로 부상하고 있는 장내미생물을 비롯하여 다양한 환경에 서식하고 있는

미생물의 군집 다양성과 기능 분석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Metagenome 연구란 무엇이고 국내외의 연구 동향에 대해서 살펴보자.

1.   Metagenome 연구개요

2.   Metagenome 국내외 연구현황

3.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산업 전망

   Metagenome과 NGS Data

Metagenome 연구의 발전을 가속화한 NGS platform을 알아보고, NGS data 특성을 고려한 분석 주의 사항을 알아보자.


   Metagenome 연구 방법론

Metagenome 연구를 시작하는 단계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은 무엇이며, 연구 목적에 따른 적합한 실험&분석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1.   Amplicon metagenome (16S rDNA)

2.   Shotgun metagenome (Whole genome)

   미생물 군집 다양성 분석 방법 (Pipeline)

16S rDNA 분석에 활용되는 Tools의 종류와 사용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1.   16S rDNA와 미생물 군집 분석

2.   다양한 분석 Tool 및 데이터베이스

3.   16S rDNA 분석 단계

   미생물 군집 다양성 분석 결과의 해석

미생물 군집 분석을 통해 생성한 다양한 결과의 의미를 이해하자.

1.   Taxonomy abundance

2.   alpha diversity

3.   beta diversity

 

  - 2일차                                                                                                          

   유의한 결과 도출을 위한 통계 분석 (기초)

그룹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미생물이 무엇인지 확인하기 위한 분석의 도구로 가장 많이 이용되는 통계 분석에 대해 알아보자.

1.   샘플 정보를 고려한 적합한 통계 방법 선정

2.   p-value와 보정 방법

   유의한 결과 도출을 위한 통계 분석 실습

Metagenome 분석 결과를 활용하여 직접 통계 분석을 수행해보자.

1.   모수와 비모수

2.   paired data의 분석

3.   Correlation

   Metagenome 데이터 시각화 분석 및 실습

Metagenome 분석의 결과를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시각화 분석 방법과 프로그램을 알아보고,


 대표적인 시각화 분석 프로그램을 직접 수행해보자.

1.   LEfSe

2.   Heatmap

※ 상기 교육내용은 교육기관 및 강사 사정에 의해 변경될 수 있음.

 

3.   교육 대상

   모집대상 : 유전체 분석 관련 기업이나 연구소에 재직  중이며, Metagenome 분석에 관심 있거나 분석을 공부하고 싶으신

         원 : 30명(신청자 중 선발하여 문자메세지로 통보예정)

 



4.   교육 신청

   신청기간 : 2020년 10월 23일(금) 14시까지

   신청방법 : 온라인 신청페이지 (http://naver.me/51g567WF) 에서 접수

   : 실습을 위한 무선인터넷 연결이 가능한 노트북 지참

 

5.   교육 장소

   선릉 위플레이스 세미나실 [서울특별시 강남구 선릉로91길 18, 4층(역삼동,동현빌딩)]

   자가용 이용 시 주차지원(주차비) 불가 (대중교통 이용 바람)

 

6.   문의 사항

   교육진행 문의 : 한국바이오협회 유전체 분석 교육 담당자, 031-628-0032


주식회사 씨젠은 분자진단 전문 기업입니다.

 

주식회사 씨젠은 Real-time PCR 기반의 동시다중 분자진단 기술을 바탕으로 제품을 개발하는 기업입니다.

독보적인 분자진단 기술과 AI, Big-Data 등 IT기술을 융합하여 감염성 질환을 비롯 암유전질환 등 다양한 시약을 

빠르게 제공 가능한 "시약개발자동화"와 함께 "하나의 장비 플랫폼"에서 모든 시약을 사용할 수 있는 

편리한 검사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분자진단시장의 혁신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코로나 바이러스감염증-19 진단시약을 개발국내외 공급합니다.

 

씨젠의 분자진단 기술로 만든 코로나-19 진단시약은 전 세계 코로나-19 확산 방지에 도움이 되는 진단시약으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의 긴급사용 승인유럽 인증(CE-IVD)을 받았으며,  씨젠의 진단시약과 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하여 수천명 동시검사 수행, 

4시간 이내 검사 완료할 수 있으며전용 소프트웨어로 쉽게 결과 판독까지 가능한 환경이 구축됩니다.

 

이러한 응급상황에 충분히 대처할 수 있는 수준으로 진단시약 양산 시스템을 확대 하였으며

그 동안 축척해온 분자진단기술과 노하우를  활용하여 국제사회를 돕는데 최선을 다하는 등 사회적 책임을 우선 가치로 두고 있습니다. 

 

 

주식회사 씨젠은 대한민국을 분자진단 강국으로 만들고 있습니다.

 

국내 뿐 아니라 세계적인 진단기관과 의료기관에서도 씨젠의 제품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씨젠은 높은 수준의 진단제품을 지속적으로 연구개발해 나갈 것이며 AI를 적용한 분자진단 체계를 구축하는 등 

차원이 다른 기술력으로 분자진단 산업을 선도해 나갈 것입니다.

 

 

씨젠 홈페이지에서 더 많은 정보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국문www.seegene.co.kr   영문www.seegene.com )

 

 

 

부문

담당업무

응시자격

인원

AI플랫폼

팀장 

 

(차장~부장)

• 당사 진단시스템을 인공지능 플랫폼화 하는데 있어 
  필요한 각종 머신러닝 및 딥러닝 알고리즘 연구 및 
  개발을 Lead 및 관리
• 당사 인공지능 플랫폼 개발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
  분석 및 관리
• 머신러닝 기반의 차세대 통계 플랫폼 구축 lead 
  관리

 

[필수요건]

• 생물정보학화학정보학응용통계학 or 컴퓨터공학 
  석사 이상
• 총 경력 7년 이하
• 전문가로서 다양한 대량 데이터 분석을 통한 
  통계적 추론 경험자
• 머신러닝 기반 모델링 역량보유 및 
  분석기술(Python, R 언어등) 5년이상 경험자
• 딥러닝 및 관련 프레임워크(PytorchTensorflow)를 
  활용한 모델링 가능자

[우대사항]

• 바이오 포함 다수 프로젝트 수행 및 경험자
• 최신 AI논문 이해 및 구현 가능자

0

알고리즘 및

통계 담당

 

(과장급)

• 각종 분야에서 산출되는 데이터또는 기존에 구축된 
  데이터를 활용한 인공지능 알고리즘 연구개발개선
• 머신러닝 기반의 당사 차세대 통계 플랫폼 구축을
  위한 연구  개발

 

[필수요건]

• 생물정보학화학정보학응용통계학 or 컴퓨터공학 
  학사 이상
• 총 경력 3-5
• 통계에 대한 이해 및 추론 가능자
• 딥러닝 등 기계확습을 활용하여 모델링 구현 가능자
• 프로그래밍 언어(R, Python)와 통계 패키지 활용하여 
  통계 Modeling 가능자

 

[우대사항]

• 관련분야 석/박사 우대
• Open source를 활용하여 머신러닝 등 모델 구현 경험자

0

데이터

엔지니어

  

(대리~과장)

• 통계를 포함한 당사 최신 인공지능 기반의 각종 
  서비스에 사용될 각종 데이터의 pipeline 및 ETL구축
• 데이터 엔지니어로써 다양한 전문분야 접목 
  (웹애플리케이션인공지능데이터 사이언스)
• 고객이 이해하기 쉬운 차원으로 통계결과 및 
  분석결과 시각화

 

[필수요건]

• 컴퓨터공학 or 정보과학 연관 전공 학사 이상
• 총 경력 3-5
• 통계에 대한 이해(Statistics)
• 데이터 마이닝클리닝및 큐레이션 경험자
• 정형 및 비정형 데이터 가공 및 표준화 경험자
• 프로그래밍 언어(R, Python, SQL), Server, Linux, 
  클라우드 기반의 인프라 활용 가능자

[우대사항]

• 관련분야 석/박사 우대
• 딥러닝 및 프레임워크(PytorchTensorflowKeras
  이용 경력

0

 

 

 

부문

담당업무

응시자격

인원

Data

Scientist


(대리~과장)

• 시약 개발용 시스템 개선, 신규 기능 개발을 위한
  알고리즘 설계 및 개발
• 다양한 최적화 문제해결을 위한 알고리즘 설계개발
   - 최적화 기술 기반의 시약 개발용 시스템 개선
   - 올리고 최적 조합 선정을 위한 최적화 알고리즘 
     설계 및 개발
   - 시약 결과 오류 최소화를 위한 최적화 알고리즘 
     설계 및 개발
   - 올리고 Tm 예측 모델 최적화를 통한 정확도 개선

 

[필수요건]

• 응용수학, 계산통계학, 생물정보학 등 관련 전공 석사 이상
• 최적화 알고리즘 설계 및 구현 경험 필수
• Machine Learning/Deep Learning/Optimization, 예측기법
• 알고리즘 구현을 위한 R, Python, SQL 등 
  프로그래밍 언어 사용 능숙자
 

[우대사항]

• 생물 관련 정보의 분석, 처리 경험이 있으신 분(Bioinformatics)
• 새로운 분야, 도전적인 과제를 두려워하지 않으며,
   함께 성장하고자 하는 분

0

 

 

 

 

 채용전형

 

    [모집기간]  10월 18(일) 후 11:59 까지 

 

 

    [접수방법주식회사 씨젠 채용 홈페이지 온라인 지원 

                           https://seegene.recruiter.co.kr

                          1) 채용기간 내 수시로 서류전형 및 면접이 진행되며 적임자 채용 시 조기종료 됩니다.

                          2) 기간 내 채용이 완료되지 않을 경우 다시 채용공고를 게시할 예정입니다.

 

 

     [전형절차]  서류전형 면접전형(1,2) 신체검사 최종합격

 

 

 처우 및 복리후생

 

     [보      수연봉(대졸 초임 약 4,000만원석사 초임 4,500만원, 경력직은 협의및 인센티브제도퇴직금 및 4대보험 별도

     [복리후생주택자금/생활안정자금 대출종합건강검진독감접종암진단비임직원단체상해보험,

                   장기근속자 포상/안식월 운영우수사원포상명절/기념일 선물자녀유치원비자녀출산비,

                   출산휴가육아휴직, 각종 경조사 지원 

 

 기타사항

    1.장애인 및 국가보훈대상자는 관련 법규에 의거하여 우대합니다.

    2.입사시 제출서류에 허위 기재사실이 있을 때에는 채용이 취소될 수 있습니다.

    3.지원자는 제출한 채용서류 원본에 한하여 서류 반환을 요구할 수 있으며(전자우편채용시스템 제외) 

      제출된 채용서류는 관계 법령에 의거하여 보관 및 파기됩니다.






#씨젠 채용 홈페이지

https://seegene.recruiter.co.kr/app/jobnotice/view?systemKindCode=MRS2&jobnoticeSn=37341

https://seegene.recruiter.co.kr/app/jobnotice/view?systemKindCode=MRS2&jobnoticeSn=37346



#온라인 사전등록

http://www.ksbb.or.kr/conference/edu_workshop/sub04.html

2020 제2회 Genome Medicine Workshop

 
2nd Genome Medicine Workshop for Clinicians
 
[일정안내] 
 
    ●  일시: 2020년 10월 17일(토)
    ●  장소: 온라인 워크샵으로 진행
    ●  주최: 한국유전체학회
 
 
[프로그램 안내] 
 
Session 1. Precision medicine: 암과 희귀질환에서의 유전체학 접목에 따른 임상적 성과
9:00-9:40Understanding the responses to cancer immunotherapy이상혁(이화여자대학교)
9:40-10:20Single cell genome analysis박웅양(성균관대학교)
10:40-11:20Proteogenomics analysis of human cancers황대희(서울대학교)
11:20-12:00Rare disease최병윤(서울분당병원)
Session 2. Post-GWAS: 만성질환의 최신 유전 연구 동향
13:00-13:40Introduction of GWAS원성호(서울대학교)
13:40-14:20PRS정원일(숭실대학교)
14:40-15:20Phenome-wide association analysis원홍희(성균관대학교)
15:20-16:00Multiomics 방법을 통한 만성질환 연구법최무림(서울대학교)
 

  •  
[사전등록] 
 
    ●  사전등록기간: 2020.07.24(금) ~ 08.14(금)08.21(금)09.30(수)
    ●  등록방법
          1) 한국유전체학회 홈페이지 회원가입 후, 워크샵 사전등록 및 결제 
          2) 비회원으로 정보 입력 후, 워크샵 사전등록 및 결제(비회원 등록 시에는 영문 정보를 반드시 입력 해 주셔야 합니다.)
 
    ※  이미 사전등록을 완료한 분들께서는 별도로 취소 및 재등록을 진행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일정 및 온라인 행사 변경 이전에 완료된 사전등록은 결제내역 및 사전등록이 자동으로 승계된다는 점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등록비 안내] 
 
    ●  등록비 100,000원
    ●  정기학술대회와 동시 등록시 20,000원 할인
 
 
[참가문의] 
 
    ●  TEL. 02-558-9394
    ●  E-MAIL. kogo3@kogo.or.kr




#사전등록 홈페이지

http://kogo.or.kr/Conference/ConferenceRegistration.asp?AC=3&CODE=CD20200701&CpPage=R#CONF



신약개발 빅데이터 전문가 (Data Scientist)



수행업무 ㆍ신약 개발 빅데이터(유전체/단백질 정보, 화학 구조 등) 수집, 추출, 전처리, 분석 

자격요건 ㆍ생물정보학, 화학정보학, 컴퓨터과학, 시스템 생물학, 인공지능 등 관련 전공 (석사 이상) 

ㆍ바이오마커 및 약효 화합물 발굴 등 신약개발 연구 경력 

ㆍ유관 분야 실무 또는 협업 경력 5년 이상 

ㆍ데이터 마이닝, 데이터 큐레이션 경험 

ㆍ정형 / 비정형 데이터 (문헌, 의료데이터) 가공 및 표준화 

ㆍ프로그래밍 언어 (Python, R 등), Server, Linux, 클라우드 기반 인프라 활용 가능 

ㆍ학력 : 석사

ㆍIT활용능력 : Microsoft SQL Server / Oracle / Linux

우대사항 ㆍ분산형 시스템 처리, 클라우드 인프라, 플랫폼 구축 경험 

ㆍDBMS (MySQL, Oracle, MSSQL 등) 활용 가능 

ㆍ딥러닝 및 프레임워크 (Pytorch, Tensorflow, Keras 등) 이용 모델 구축 경험 

ㆍ우대 전공 : 생물정보학/ 화학정보학/ 컴퓨터 과학/ 시스템 생물학/ 인공지능

근무지 ㆍ경기도 판교 

마감 기한 ㆍ2020년 9월 9일 - 2020년 9월 15일



#SK바이오팜 채용홈페이지

https://www.skcareers.com/POS/TRM2102.aspx?PosCD=P2009D120011&rURL=/POS/TRM2101.aspx




아주대학교 바이오데이터 엔지니어 인력양성사업 지원자 모집공고


한국바이오연구조합에서 주관하는 바이오데이터 엔지니어 인력양성사업의 협동거점교육기관인 아주대학교에서 바이오데이터 엔지니어 교육 및 청년채용 대상자를 모집합니다.

이공계 학사이상 전공자 중 미취업자 (200명)를 대상으로 바이오데이터 엔지니어로서 성장하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공동연구기관 (아주대, 고려대, 성균관대, 연세대, 제주대)의 연구실에 배치되어 바이오데이터 등록 업무를 수행하게 됩니다. 많은 관심과 참여바랍니다.


1. 개요

○ 사업명 : 아주대학교 바이오 데이터 엔지니어 양성 사업

○ 목적 : 바이오 데이터 엔지니어 양성 및 바이오 데이터 등록

○ 모집인원: 200명

○ 담당업무: 

유전체, 바이오, 의료정보, 의약정보 및 인공지능을 포함한 총 5개의 데이터 도메인의 바이오데이터 처리를 위한 교육을 이수(최소 120시간 비대면 수업) 하고, 바이오 연구데이터의 표준화, 디지털 전환 및 등록 업무를 수행함.

○ 참여기관: 아주대, 고려대, 성균관대, 연세대, 제주대

○ 채용기간: 총 5개월 (교육기간 120시간 포함)

○ 주관 : 한국바이오연구조합

○ 후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 채용조건

○ 채용대상:

- 이공계열 학사 이상 학위 소지자인 청년 (인문사회계열, 예체능계열 전공자 제외)

- 채용시점에 사회보험에 미가입된 자 (경력단절여성 가능)

- 대학, 대학원 재학생, 수료생은 채용 불가(2021년 2월 졸업예정자는 2021년 1월 채용 가능)

○ 업무조건:

- 업무시간: 주 25 시간

- 급여: 월 180만원 (4대 보험 포함), 별도 퇴직금 없음 (1년 미만 근무)

- 업무장소: 5개 공동교육기관 (아주대, 성균관대, 고려대, 연세대, 제주대) 중 택 1 선택 근무.

○ 업무내용: 기관 소속 연구실에 배치 후 바이오 데이터 등록 업무 수행

○ 채용기간 : 5개월 (교육 120시간 포함)

* 정규직 채용에 대한 의무 및 계약직의 정규직 전환 의무 없음


3. 채용 일정

○ 희망 업무개시일에 따라 1차 (2020년 10월), 2차 (2020년 11월) 모집

○ 신청폼 접수 마감일 : 2020년 9월11일 (1차), 2020년 10월 9일 (2차)

- 제출처: http://naver.me/Glto4K8S

(희망근무기관, 희망채용일, 교육프로그램 선택)

○ 면접일정 : 9월 14일 (1차), 10월 12일 (2차) (비대면 진행예정)

○ 채용계약 마감일 : 9월18일 (1차), 10월 16일 (2차)


4. 교육과정

○ 채용된 인원은 업무기간 중 제공되는 바이오데이터 엔지니어 인력양성 교육프로그램 (120시간, 대면/비대면 교육 병행)을 이수하여야 함 (근무시간으로 인정).

○ 데이터 도메인에 따라 필수기초교육 트랙 (유전체, 바이오) 과 선택심화교육트랙 (의료정보, 의약정보, 인공지능) 제공

○ 교육프로그램

- 유전체: R 프로그래밍 활용 유전체 분석, RNA-SEQ, Single Cell Sequencing, Gene Ontology/ Gene Set / Pathway Analysis, 공개데이터 활용실습 등

- 바이오: 단백질 검출, 세포배양, 항체공학, 동물실험, FACS 분석 등

- AI/통계: 기계학습 이론, 파이썬, 회귀분석, 모델평가, 인공신경망 이론 및 실습  

- 의료정보: 의료데이터 추출, 연계, 가공, 처리 및 관리  등

- 의약정보: 약물, 임상약학, 바이오화학, 약물전달기술 등

* 비대면 강의로 제공예정. 강사진의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

* 자세한 교육일정은 첨부파일 참조

○ 교육 평가를 통해 수료증 발급 및 생물정보분석사 자격증 발급 예정


5. 기타 사항

지원서 기재 내용 및 제출 서류에 허위사실이 있는 경우 채용 취소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사항음 https://url.kr/LOC27u 에서 확인바랍니다.

문의처 : bioeng@k-genome.org, ☎: 031-219-5046




#지원 홈페이지

http://k-genome.org/education/program_view_2018.asp?idx=24






한국뇌연구원(KBRI)은 글로벌 뇌연구 선도기관을 지향하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출연연구기관입니다.

뇌 연구에서 'First Topic, Best Infrastructure'를 목표로 인류의 건강과 행복 증진에 기여할

창의적이고 도전정신이 가득한 인재를 정중히 모십니다.


  ■ 모집구분 : 정규직(연구직) / 무기계약직(공무직) / 계약직(행정직)


  ■ 접수기간 : '20. 08. 25.(화) ~ '20. 09. 15.(화) (한국시각 23:59 까지)


  ■ 접수방법 및 접수처 : 첨부파일(채용공고 등) 참조 ( 접수처 : kbri.recruiter.co.kr )

     * 응시자격, 접수방법 및 유의사항, 기타사항 등을 반드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문의처 : 한국뇌연구원 인재경영팀(053-980-8293)


< 제출안내 >

  -  모든 채용분야에 대한 '입사지원'은 한국뇌연구원 채용전용 홈페이지(kbri.recruiter.co.kr)를 통해 제출해 주시기 바랍니다.

  -  채용홈페이지는 '크롬'브라우저를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입사지원 마지막 날은 제출문의 및 전산지연 등으로 입사지원서 제출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으니,

     지원희망자께서는 미리 준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가. 정규직(연구직)

구분채용분야
(응시코드)
채용직급
(신입/경력)
자격요건 및 수행직무채용
인원
연구
부문
뇌신경생물
(연구-01)
선임급/
책임급
(경력)
ㆍ자격요건
  - 학위 : 박사학위 소지자

ㆍ수행직무
  - 뇌신경망 구조-기능 분석 및 제어 관련 연구
  - 뇌신경계 재생, 퇴화 및 발생관련 연구

ㆍ우대사항
  - 해당 분야 우수 연구 논문 발표자
    (공고일로부터 5년 이내 주저자 기준)
  - 우수 뇌연구 기관의 연구 책임자급 경력 보유자
  - 연구과제 책임자로 정부수탁 연구과제 수주 유경험자
  - 생명과학 관련분야 전공자 우대
1명
연구
부문
뇌의약학
(연구-02)
선임급/
책임급
(경력)
ㆍ자격요건
  - 학위 : 박사학위 소지자 또는 전문의 자격 소지자

ㆍ수행직무
  - 뇌질환 원인 규명 및 진단-치료 전략 확립 관련 연구
  - 임상 기반 뇌신경계 질환 중개 연구

ㆍ우대사항
  - 해당 분야 우수 연구 논문 발표자
    (공고일로부터 5년 이내 주저자 기준)
  - 우수 뇌연구 기관의 연구 책임자급 경력 보유자
  - 연구과제 책임자로 정부수탁 연구과제 수주 유경험자
  - 임상 현장에 기반한 기초/임상 중개 연구 경험 보유자
  - 의사면허 소지자
  - 뇌의약학 관련분야 전공자 우대
1명
연구
부문
뇌인지
(연구-03)
선임급/
책임급
(경력)
ㆍ자격요건
  - 학위 : 박사학위 소지자

ㆍ수행직무
  - 인간 및 동물모델에서 고위 뇌기능 기전 규명 및
    항진기술개발

ㆍ우대사항

  - 해당 분야 우수 연구 논문 발표자
    (공고일로부터 5년 이내 주저자 기준)
  - 우수 뇌연구 기관의 연구 책임자급 경력 보유자
  - 연구과제 책임자로 정부수탁 연구과제 수주 유경험자
  - 심리학, 의학, 인지과학 등 뇌인지 관련 분야 전공자 우대
1명
연구
부문
뇌공학
(연구-04)
선임급/
책임급
(경력)
ㆍ자격요건
  - 학위 : 박사학위 소지자

ㆍ수행직무
  - 뇌-인공물 인터페이스 및 상호 제어 기술 개발
  - 뉴로모듈레이션 관련 기술 개발
  - 머신 러닝을 활용한 생체 빅데이터 (omics, clinical data 등)
   분석 방법론 개발

ㆍ우대사항

  - 해당 분야 우수 연구 논문 발표자
    (공고일로부터 5년 이내 주저자 기준)
  - 우수 뇌연구 기관의 연구 책임자급 경력 보유자
  - 연구과제 책임자로 정부수탁 연구과제 수주 유경험자
  - 뇌과학, 생명정보학, 생물학, 정보통신, 공학 관련분야
    전공자 우대
1명
인프라
부문
생체
빅데이터 DB구축
및 분석
(연구-05)
선임급/
책임급
(경력)
ㆍ자격요건
  - 학위 : 박사학위 소지자

ㆍ수행직무
  - 뇌과학 관련 생체 빅데이터 (이미징, 오믹스 등) DB 구축
    및 운용 관련 업무
  - 생체 빅데이터 표준화, 마이닝 및 인공지능 적용 연구
  - 뇌과학 빅데이터 DB센터 관련 기획 업무

ㆍ우대사항
  - 해당 분야 우수 연구 논문 발표자
    (공고일로부터 5년 이내 주저자 기준)
  - 뇌과학 혹은 생물학 관련 DB 구축 또는 활용 경험자
  - 연구과제 책임자로 정부수탁 연구과제 수주 유경험자
1명







#한국뇌연구원(KBRI) 채용 홈페이지

https://www.kbri.re.kr/new/pages/sub/page.html?mc=635&key=&keyword=&no=1081&mode=view



    K-Genome Lectures 2020 

의생명과학도를 위한 아주 쉬운 유전체분석 


K-GENOME 유전체빅데이터 인력양성 사업단에서 2020년도 [의생명과학도를 위한 아주쉬운 유전체 분석] 강의를 개최합니다.

의생명과학도 대학원생 및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으로  유전체 분석의 이론, 실습 교육, 프로젝트 수행평가를 통해 실전 활용 능력을 키우고자 프로그램을 구성하였습니다.


코로나 사태로 인해 모든 교육강의는 온라인으로 진행됩니다. 본 과정은  참여대학들이 공동으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교육생들에게 제공하며, 참여대학의 대학원 정규교과목으로도 활용됩니다. 

동시에 공개 교육생 모집을 통해 일반인에게도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고자 합니다. 


교육생의 평가를 강화하여 과제 수행평가와 코칭 교육을 통해 평가를 시행하고,  최종 시험에 합격한 교육생에게 생명정보분석사 자격증을 발급해 드립니다.  

 

 

1. 개요

 

  • 목 적 : 의/생명 전공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초급 입문과정. 

  • 과 정 명 : 의생명과학도를 위한 아주쉬운 유전체 분석

  • 교 육 비 : 무료

  • 주관 : K-Genome 유전체빅데이터 전문인력양성 사업단 

  • 참여 대학 : 아주대, 가톨릭대, 한양대, 부산대, 포항공대

  • 참여 기관 : 한국바이오협회, 테라젠이텍스

  • 후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 교육 대상, 기간 및 장소

  • 대상 : 의생명정보 관련 전공 대학원생 및 일반인 (대학원생,  학부생 우선선발)

  • 기간 : 2020.9.02 ~ 2020.12.9 (총 15주, 매주 수요일, 오후 5시~8시)

  • 선발기준: 서류심사

  • 인원 : 일반 공개 모집 30명 내외 (신청서 접수 후  선발) 및 참여대학 정규교과목 수강생

  • 장소 :  온라인교육으로 진행 (추후 실습교육 일부는 대면 강의로 변경가능)

       * 수강 신청자가 많은 경우, 신청서 검토후 수강생을 선발하고 개별 통지해 드립니다.


3. 교육 프로그램


  • 유전체 분석 입문 및 분석이론 

  • Next Generation Sequencing

  • Single cell sequencing

  • Cancer genomics

  • 유전체분석 실습 

  • R/Bioconductor

  • Differential Expression Analysis 

  • R을 이용한 데이터 시각화 

  • Clustering Analysis 

  • 공개데이터 활용분석 (GEO/TCGA)

  • Gene Set Analysis/ Network Analysis


  • 코칭교육 

강사진과 교육생간의 피드백 질의응답 활성화

(실습교육의 일부는 비대면 교육으로 진행할 수도 있음)

  • 평가 

  • 매 주 실습 과제 수행평가를 실시

  • 최종 시험에 합격한 교육생들에게 생명정보교육사 자격증 발급

 * 프로그램및 강사진은 교육일정표 참조 (https://url.kr/7vKGht) (추후 변동가능)


4. 교육 신청


  • 인터넷 수강신청서 작성 제출 (신청자가 많은 경우, 신청서 검토후 교육생 선발 통지함) 

  • 신청서: 신청서 폼 작성후 인터넷 제출  (https://url.kr/lckmZx)

제출기간 :  2020. 8.24 일까지 





안녕하세요.


KOBIC 교육센터에서 제2회  ChIP-seq 온라인 강좌를 오픈하였습니다.


많은 관심과 참여 바랍니다.


 


[일정]


 - 신청기간 : 2020년 8월 7일 ~ 8월 31일


 - 교육기간 : 2020년 8월 10일 ~ 9월 15일


 


[커리큘럼]


 - 제1강. ChIP Experiment & Quality Check


 - 제2강. ChIP-seq 데이터 분석


 - 제3강. Epigenome and Histone modification


 - 제4강. 후성유전적 유전자 조절


 - 제5강. Visualization & advanced analysis


 


[수료기준]


 - 모든 온라인 강좌 70% 이상 이수


 - 설문조사 참여





#신청링크

https://www.kobic.re.kr/edu/local/course_application/course_info.php?courseid=112&gubun=1#list01

+ Recent posts